[AWS] 강의 3 - AWS 클라우드 핵심 서비스 소개 2
※ 아래는 '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(2022-06-09)' 강의를 수강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
● 스토리지 옵션
- Amazon S3
- Amazon S3 Glacier
- Amazon EFS : NAS 처럼 여러 사람이 동시에 쓰기 작업을 할 수 있는 공유 스토리지. Amazon EC2 인스턴스용 확장 가능 네트워크 파일 스토리지.
- AWS Storage Gateway
- Amazon EBS(Elastic Block Store) : EC2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됨.
1. Amazon S3 (Simple Storage Service)
- 객체 수준 스토리지
- 특징1 : 높은 가용성과 내구성을 지닌 스토리지. 백업과 아카이브 용도로도 사용 가능
- 특징2 : 높은 수평확장성(유연성). 원하는 만큼 데이터 저장 가능
→ 손쉽게 다수의 동시 트렌젝션 가능.
→ 금융 거래 분석 등 워크로드를 지원하는 빅데이터 분석
- 이벤트 알림 기능 : 특정 버킷으로 객체가 업로드되는 등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자동 알림 설정이 가능하다.
→ 람다 스크립트같은 다른 스크립트를 트리거하는 데 사용 가능.
- 정적 웹 컨텐츠 혹은 미디어를 저장하고 배포할 수 있다.(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)
- 데이터 레이크, 빅 데이터 분석에 많이 사용됨
- AWL Lake Formation
- 클라우드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스토리지로 사용이 된다.
- 용량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어디서든 엑세스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게 배포하고 더 많은 사용자가 액세스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.
● S3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
- 데이터를 버킷이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.
→ 버킷 : 파일 저장과 함께 사용하는 다른 접근 방식. 계층적 x. 객체 스토리지.
> 폴더 대신 여러 개의 객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버킷이라는 단위를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.
- Key, Value로 구성되어있어 신속하게 저장된 객체를 검색하여 사용 가능
- 데이터 검색 시 사용할 수 있는 고유한 객체값 부여
- Key, Value 로 굉장히 신속하게 저장한 객체를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다.
- 한번에 업로드할 수 있는 객체 크기는 5TB. 객체 수는 제한 없다.(수평확장성)
- 생성한 버킷, 객체에 대한 모든 액세스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.
→ 버킷을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어할 수 있는 정책 생성 가능
- AWS 리전 선택 가능
예) 사운드클라우드, Sony, DADC 등이 S3 사용중.
2. Amazon S3 Glacier
- S3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 옵션 중 하나.
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터 아카이브용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.
- 키워드 : '아카이브'.
- 1GB당 5원 정도의 비용으로 데이터 저장.
- 저장된 아카이브 데이터에 직접 강력한 분석을 실행할 수 있다.
- Glacier보다 더 저렴한 거 : S3 Deep Archive
- 장기 데이터 스토리지
- 아카이브 및 백업
- 비용이 매우 저렴한 스토리지
3. Amazon EBS(Elastic Block Store)
- EBS 유형 2가지 : 트랜잭션 워크로드를 위한 SSD, 처리량 워크로드를 위한 HDD
- 인스턴스용 영구 블록 스토리지
- 복제를 통해 보호
- 상이한 드라이브 유형
- 몇 분 만에 확장 또는 축소
- 프로비저닝한 만큼만 요금 지불
- 스냅샷 기능 → S3에 저장됨
→ 하나 가용영역에 문제 발생해도 다른 영역에 저장된 스냅샷 사용하면 된다
- 암호화 사용 가능(추가 비용x)
암호화는 EC2에서 발생. 전송중, 저장 시 EBS 볼륨 암호화와 함께 암호화된다.
● 목적별 데이터베이스 : 약 15가지 종류가 있다..
● DIY와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비교
DB를 사용하는 2가지 방법
1) Amazon EC2의 데이터베이스
- 운영체제 액세스
-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필요
- AWS에서 지원하지 않는 상용 DB SW를 직접 구축 가능
2)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
- AWS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사용 옵션
- 손쉬운 설정, 관리, 유지
- 즉각적인 고가용성 구현
- 성능에 초점
- 관리형 인프라
- DB 이중화를 빠르고 손쉽게 할 수 있다.
- 성능 조정, 스키마 최적화같은 고차원적인 DB 작업에 집중 가능
- 인스턴스 유형 규모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면서 DB 관리가 가능하다.
● AWS의 DB 서비스
1) Amazon RDS
- 확장 가능한 용량을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 Amazon Aurora, PostgreSQL, MYSQL, ..
- 기존 DB를 RDS로 손쉽에 마이그레이션, 복제 가능.
- DB 중단 필요 없이 DB 컴퓨팅 및 스토리지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다.
- 안정성 높은 인프라에서 실행됨. DB 이중화 손쉽게 가능.
● Amaxon Aurora
- 아마존에서 자체적으로 만든 것.
- 클라우드용으로 빌드된 MySQL 및 PostgreSQL 호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 성능 : 표준 MySQL DB보다 5배쯤 빠름. 표준 PostgerSQL보다 3배쯤 빠름.
- 내결함성을 갖춘 자가 복구 ... 최대 64TB..
● Amazon DynamoDB
- noSQL DB
- 어떤 규모에서든 빠르고 유연성이 뛰어난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
- 완전관리 방식의 비관계형 DB 서비스
- 목표 처리량을 설정하면 나머지는 알아서 해줌.
- Fine Grained Access Control...
- 완전 관리형
- 빠르고 일관된 성능
- 세분화된 액세스 제어
- 유연성 AWS SDK를 사용해서 JSON문서를...
● 정리)
S3 : 인터텟용 객체 스토리지
EBS
EFS : 파일 스토리지
DB : Amazon RDS, DynamoDB, ...